MSDS란? |
물질안전 보건자료(MSDS)는 미국 노동성 산하 노동안전위생국(Occupational Safety & Health Administration, OSHA)이 1983년 약 600여종의 화학물질이 작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에게 유해하다고 여겨서 이들 물질의 유해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 것으로부터 기인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은 1985년에 발효되었으며 때마침 주나 지방 근로자의 알 권리(right-to-know)에 대한 연방 법안에 동조하는 대규모 화학 회사들이 지지하고 나서서 MSDS에 대한 시안이 마련되었는데 이 보건자료에 화학명,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등록번호, 유해한 물리·화학적 특성 그리 고 알려진 급·만성 건강자료가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나 화학회사들은 노동안전위생국에게 정확한 유해정보를 양도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 자신의 기관인 화학 제조업자 협회(Chem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CMA)가 미국 표준연구소(ANSI)의 공인을 얻어서 4년 동안의 작업 끝에 1992년 통일된 MSDS 안을 제정하여 공포하게 된 것입니다. MSDS는 모두 16항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처음 열 항목은 미국의 요구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나머지 여섯 항목은 국제 규격에 맞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화학연구정보센터에서 우리 실정에 맞도록 국문 가공을 거쳐 다음과 같은 사항으로 열거해 놓았습니다. 다시 세분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와 응급 시 알아야 할 사항: ㆍ 제1항: 화학제품과 제조회사 정보 물질명, CAS 등록번호, RTECS 번호, UN 번호, 관용명, 상표명, 분자식, 화학물질군 ㆍ 제2항: 제조법 및 관련문헌정보 물질의 제조법과 관련문헌정보 ㆍ 제3항: 성분 함유량 및 관련정보 성분, CAS 번호, 퍼센트, 다른 불순물 ㆍ 제4항: 유해 위험성 CERCLA 지수, NFPA 지수, 응급상황에 대한 개요, 흡입 및 섭취 시 영향, 피부 및 눈 접촉 시 영향, 둘째, 응급 상황 시 대응 방법 ㆍ 제5항: 응급조치 요령 흡입, 피부 접촉, 눈 접촉 및 섭취 시 응급조치와 의사에 대한 정보(해독제 종류 및 사용량) ㆍ 제6항: 화재 시 대응 방법 화재 및 폭발 위험성 여부, 소화제 종류, 진화 방법, 인화점, 발화점 및 유해 연소 생성물 ㆍ 제7항: 누출 사고 시 대응 방법 사고에 의한 누출과 물질의 토양, 대기, 수중 누출에 대한 대처 방법 셋째, 유해 상황 예방책 ㆍ 제8항: 취급 및 저장 방법 저장 시 주의사항 ㆍ 제9항: 노출방지와 인명보호 노출 기준법, 노출 최소화를 위한 측정 장비, 개인 보호 장비(보호의와 보호장갑)에 대한 안내서, 노출 시 응급요령, 호흡용 보호구에 대한 안내서 ㆍ 제10항: 물리·화학적 특성 물질의 분자량, 분자식, 끓는점, 녹는점, 증기압, 비중, 용해도, pH, 증발율 및 용매 ㆍ 제11항: 안정성 및 반응성 반응조건, 피해야 할 조건 및 물질, 유해한 분해 생성물 및 중합 반응성 여부 넷째, 기타 중요한 정보 ㆍ 제12항: 독성에 관한 정보 자극성 및 독성 자료, 돌연변이성 자료, 종양 및 발암성 자료, 표적 신체 기관에 대한 영 향, 급·만성 신체(피부, 눈, 섭취) 노출 시 건강 정보 ㆍ 제13항: 환경 영향 정보 환경 영향 지수 및 생체 축적 지수, 분해성 여부 ㆍ 제14항: 폐기 시 주의사항 폐기 시 법정 준수 사항 ㆍ 제15항: 운송에 대한 정보 운송 시 포장 및 표시 기준, 운송 방법 ㆍ 제16항: 각종 법규에 대한 정보 각 나라마다의 안전 관리 규정에 대한 정보 |
MSDS제도의 도입배경 |
1.근로자의 알 권리 충족 2.유해물질로 인한 근로자의 위해 예방과 사고시 신속 대처 3.화학물질 사용량의 폭발적 증가와 유해성 자료의 부실 4.국가 차원의 종합적·체계적 화학물질관리의 필요성 대두 5.화학물질관리의 국제적 흐름에 동참 - 미국('85), 캐나다('88), 유럽연합('91), 일본('92) 등 기시행 - 국제화학 공업협회(ICCA) 설립('90) : MSDS 국제력 기재항목 결정 - ILO 제170호 ('90) : 화학물질 안전사용에 관한 조약 - 리우 UN 환경개발회의(UNCED) ('92) : 유해화학물질 환경관리 - 화학물질 국제거래 윤리규약 ('94) : 건강과 환경 유해성 저감 |
MSDS자료 작성원칙 |
1.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1) 제품명: 경고표지 동일 명칭, 분류코드 2) 일반적 특성: 제품의 전반적인 화학적 특성 3) 유해성 분류: 별표 1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 4) 제품의 용도 5) 제조·공급·유통업자 정보 : 제조회사, 공급회사, 주소, 정보제공 서비스나 긴급연락 전화번호, 담당부서, 담당자 6) 작성 부서 및 이름 7) 작성 일자 8) 개정 횟수, 최종 개정 일자 2.구성 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1) 화학물질명 2) 이명(관용명/상품명) 3) CAS번호나 식별 번호 4) 함유량(%) 3.위험·유해성 1) 긴급한 위험·유해성 정보 2) 눈에 대한 영향 3) 피부에 대한 영향 4) 흡입시의 영향 5) 섭취시의 영향 6) 만성 징후와 증상 NFPA 지수지수건강 위험화재 위험(인화점)반 응 성4치명적임22.8℃ 이하폭발 가능3매우 유해22.8℃∼37.8℃충격이나 열에 폭발 가능2유해37.8℃∼93.3℃화학물질과 격렬 반응1약간 유해93.3℃ 이상열에 불안정0유해하지 않음잘 타지 않음안정 4.응급조치 요령 1) 눈에 들어 갔을 때 2) 피부에 접촉했을 때 3) 흡입했을 때 4) 먹었을 때 5) 의사의 주의사항 5.폭발·화재시 대처 방법 1) 인화점 2) 자연 발화점 3) 최저인화한계치/최고인화한계치(폭발상한치/폭발하한치) 4) 소방법에 의한 분류 및 규제내용 5) 소화제 6) 소화방법 및 장비 7) 연소시 발생 유해물질 8) 사용해서는 안되는 소화제 <그림>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화재 등급구 분IIIIII인화점끓는점인화점끓는점인화점끓는점기준온도22.8℃이하37.8℃이하37.8℃이하60℃이하60℃이하93.3℃이하 6산화성 고체 가연성 고체 자연 발화성 물질, 금수성 물질 인화성 액체 자기 반응성 물질 산화성 액체 <그림>제1류 물질 (산화성 고체) 아염소산염, 염소산염, 과염소산염, 무기과산화물, 브롬산염, 질산염, 요오드산염, 삼산화크롬, 과망간산염, 중크롬산염 <그림>제2류 물질 (가연성 고체) 황린, 황화린, 적린, 유황, 철분, 마그네슘, 금속분류 <그림>제3류 물질 (자연 발화성 물질, 금수성 물질) 칼륨, 나트륨,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알카리 금속 (칼륨, 나트륨 제외) 및 알카리 토금속, 유기금속화합물 (알킬알루미늄, 알킬리튬 제외), 금속수소화합물, 금속인화합물, 칼슘이나 알루미늄의 탄화물 <그림>제4류 물질 (인화성 고체) 특수 인화물, 제1석유류, 알코올, 제2석유류 제3석유류, 제4석유류, 동식물유 <그림>제5류 물질 (자기 반응성 물질) 유기과산화물, 질산에스테르, 셀룰로이드, 니트로 화합물, 아조 화합물, 디아조 화합물, 히드라진 유도체 <그림>제6류 물질 (산화성 액체) 과염소산, 과산화수소, 황산, 질산 6.누출사고시 대처방법 1) 인체 보호 조치사항 2) 환경보호 조치사항 3) 정화(제거) 방법 7.취급 및 저장 방법 1) 안전취급요령 2) 보관 방법 8.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1) 공학적 관리방법 2) 호흡기 보호 3) 눈, 손 보호 4) 신체보호 5) 위생상 주의사항 6) 노출기준 9.물리화학적 특성 1) 외관 2) 냄새 3) pH 4) 용해도 5) 끓는 점/끓는 점 범위 6) 녹는 점/녹는 점 범위 7) 폭발성 8) 산화성 9) 증기압 10) 비중 11) 분배계수 12) 증기밀도 13) 점도 14) 분자량 10.안정성 및 반응성 1) 화학적 안정성 2) 피해야 할 조건 및 물질 3) 분해시 생성되는 유해물질 4) 반응시 유해물질 발생 가능성 11.독성에 관한 정보 1) 급성 경구 독성 2) 급성 흡입 독성 3) 아급성 독성 4) 만성 독성 5) 변이원성 영향 6) 차세대 영향(생식 독성) 7) 발암성 영향 8) 기타 특이사항 12.환경에 미치는 영향 1) 수생 및 생태 독성 2) 토양 이동성 3) 잔류성 및 분해성 4) 동생물의 생체내 축적 가능성 13.폐기시 주의사항 1) 폐기물관리법의 규제 현황 2) 폐기 방법 3) 폐기시 주의사항 14.운송에 필요한 정보 1) 선박안전법 위험물 선박운송 및 저장규칙에 의한 분류 및 규제 2) 운송시 주의사항 3) 기타 외국의 운송 관련 규정에 의한 분류 및 규제 15.법규에 관한 정보 1)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규제 2) 유해화학물질관리법 등 화학물질관리 관련법에 의한 규제 3) 기타 외국법에 의한 규제 16.기타 참고사항 자료의 출처 : 원자료의 작성기관명, 작성시기, 참고문헌 등 독 성 정 보LD 50 : Lethal Dose 50% LD LO : Lethal Dose Low LC 50 : Lethal Concentration 50% LC LO : Lethal Concentration Low TD 50 : Toxic Dose 50% TD LO : Toxic Dose Low TC 50 : Toxic Concentration 50% TC LO : Toxic Concentration Low 50% 치사량 최저 치사량 50% 치사농도 최저 치사농도 50% 독성량 최저 독성량 50% 독성농도 최저 독성농도 급성 독성 : 1~14일 쪿 아 급 성 : 15일~1년 쪿 만성 독성 : 1년~일생 쪿 변이원성 : 유전자 이상(염색체 이상) 쪿 생식독성 : 생식의 이상 쪿 과 민 성 : 알레르기 유발 |
혼합물의 MSDS 작성방법 |
1.혼합물 자체에 대한 유해성 평가 자료 이용 2.전체 시험 자료 없을 때 구성 성분별 MSDS를 이용 3.1, 2를 혼용 1을 원칙으로 하되 일부 항목의 자료가 없는 경우 2를 적용 4.유사한 혼합물 MSDS를 이용 - 혼합물 구성성분이 동일 - 각 구성성분의 함량변화가 10% 이내일 것 - 비슷한 유해성을 가질 것 |
MSDS의 작성원칙 |
1.한글 사용을 원칙 2.실험실 실험·연구 목적용 시약의 외국어 MSDS는 한글 작성으로 인정 3.우량실험실(GLP) 기준에 의한 실험결과를 우선적으로 고려 4.GLP 기준 실험 결과 최소한 하나 이상에서 양성 결과가 나온 경우 유해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함 5.번역시 최초 작성기관명과 시기, 참고문헌의 출처 기재 6.한국산업안전공단이 정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번역 지침서”의 용어를 표준 (KISCO NET 이용) 7.작성 단위는 계량 및 측정에 관한 법률에 의함 8.가능한 한 빠짐없이 작성, 정보를 구할 수 없는 경우 “자료 없음”, 대상이 되지 않는 경우 “해당없음” 기재 9.MSDS 작성시 취급 근로자 건강보호 목적에 부합하도록 성실하게 작성 |
MSDS적용대상물질 |
1.물리적 위험물질 ① 폭발성 물질 ② 산화성 물질 ③ 극인화성 물질 ④ 고인화성 물질 ⑤ 인화성 물질 ⑥ 금수성 물질 2.건강장해 물질 ① 고독성 물질 ② 독성 물질 ③ 유해물질 ④ 부식성 물질 ⑤ 자극성 물질 ⑥ 과민성 물질 ⑦ 발암성 물질 ⑧ 변이원성 물질 ⑨ 생식독성 물질 3.환경 유해물질 ① 환경 유해물질 |
MSDS작성대상물질 |
대 상 : 화학물질이나 화학물질을 함유한 제제 1.순수화학물질(Pure Chemicals) 2.단일 화학물질(Single Chemicals) : 물리·화학적으로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른 물질의 혼합물도 포함 3.혼합물(Mixture) 1) 유해화학물질 + 유해화학물질 2) 유해화학물질 + 무해화학물질 - 발암물질: 0.1% 이상 - 독성물질, 부식성 물질, 자극성 물질: 1% 이상 |
MSDS적용제외물질 |
1.원자력법: 방사성 물질 2.약 사 법 :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장품 3.마 약 법 : 마약 4.농약관리법 : 농약 5.사료관리법 : 사료 6.비료관리법 : 비료 7.식품위생법 : 식품, 식품첨가물 8.향정신성 의약품 관리법 : 향정신성 의약품 9.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 : 화약류 10.상기 이외의 물질로 일반소비자용 제제 11.기타 노동부장관이 인정 고시한 제제 - 대상물질 1% 미만 (단 발암성 0.1% 미만) - 고형화된 완제품 : 제조시 형태와 기능유지, 최종 사용시 유해물질 노출 우려가 없는 제제 (발암물질 포함시 제외) |
MSDS구성항목 |
1.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2.구성 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3.위험,유해성 4.응급조치 요령 5.폭발,화재시 대처 방법 6.누출사고시 대처 방법 7.취급 및 저장 방법 8.노출방지 및 개인보호구 9.물리 화학적 특성 10.안정성 및 반응성 11.독성에 관한 정보 12.환경에 미치는 영향 13.폐기시 주의 사항 14.운송에 필요한 정보 15.법적 규제 현황 16.기타 참고사항 |
